본문 바로가기
시사

겨울철 북서풍이 몰고온 불청객 중국발 미세먼지

by U.ken 2019. 1. 15.
반응형

2019년 1월 14일, 역대급 최악의 미세먼지가 전국을 덮쳤다. 특히 수도권 곳곳에는 관측 이래 처음으로 초미세먼지 경보가 내려지기도 했는다. 내일 오전까지는 대기가 정체되면서 전국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가 나쁨에서 매우 나쁨 수준을 유지한다고 한다. 서울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14일 관측 이래 최악의 수준을 보인 가운데 15일에도 전국이 탁한 미세먼지로 뒤덮이겠다. 서울 수도권에는 사상 처음으로 사흘 연속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된다.


새해 초부터 최악의 미세먼지가 한반도 상공을 뒤덮고 있다. 어제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 10개 시·도에선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동됐다. 수도권에서 이틀 연속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된 것은 지난해 1월과 3월에 이어 세 번째다. 많은 시민이 뿌연 미세먼지 때문에 야외 활동을 접어야 했다. 사방이 희뿌옇고 숨 쉬기조차 힘들 정도였다.


초미세먼지 사태는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초미세먼지 농도는 지난 토요일 ㎥당 69㎍, 일요일에는 ‘매우 나쁨’ 기준인 75㎍을 넘어섰다. 급기야 어제 서울에서 122㎍까지 치솟으면서 작년 3월의 역대 최고치 99㎍을 뛰어넘었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의 초미세먼지가 ‘나쁨’(36㎍) 기준을 넘어선 날이 67일이나 됐다. ‘매우 나쁨’ 기준을 초과한 날도 4일이었다. 미세먼지는 뇌졸중, 심장병, 폐암, 우울증, 결막염을 일으키고 태아와 소아의 성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미세먼지를 국민 생존권 차원 문제로 인식하고 접근해야 하는 이유다.


국내의 대기환경은 중국에서 유입된 공기질에 크게 좌우된다. 국내 전문가들은 국내 미세먼지 오염의 30~50%는 중국 탓이고, 오염이 심할 때는 중국의 영향이 60~80%에 이른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지난해 말 중국 정부가 “서울의 미세먼지는 주로 현지에서 배출된다”고 주장하자 정부는 반박조차 제대로 하지 못했다. 정확한 데이터가 없는 까닭이다. 이런 점에서 최근 국립기상과학원이 내놓은 ‘2018 서해 상 대기 질 입체관측 보고서’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기상청 기상항공기가 서해 600m 상공에서 건너오는 중국발 미세먼지 오염도를 실측으로 확인했기 때문이다. 오염 유입 요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해야 중국 당국에 당당하게 대책 마련을 요구할 수 있는 법이다.


중국발 미세먼지


중국 에너지원 석탄이 문제

1970년 말, 중국은 개혁개방을 시작으로 경제발전에 시동을 걸었다. 지난 30년 동안 약 10%의 고도 성장률을 보이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한 주요경제국이 됐다.
선진국보다 늦은 출발인 만큼 경제개발에 최대한 속력을 냈다. 중국의 큰 시장과 값 싼 인건비를 노려 해외 기업들이 물밀듯 중국에 공장을 지었다. 중국의 경제를 성장 시킨 것이 제조업이고, 그동안 공장을 돌리는 에너지원으로 석탄을 가장 많이 사용했다. 뿐만 아니라 10억이 넘는 일반 가정에서 난방을 위해 석탄을 쓰니 그 대륙의 스케일이란 상상을 초월한다. 석탄은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더 많은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발생시킨다. 또 같은 에너지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원료의 양이 다른 에너지에 비해 더 많다.
문제는 중국 정부의 환경 개선에 대한 인식이다. 지금까지는 성장에만 초점을 맞춰왔다. 개발도상국으로서 겪는 과정으로 오염문제가 불거지겠지만 문제는 역시 그 스케일이다. 중국 본토 국민들도 큰 피해를 입을 뿐 아니라 주변국까지 큰 피해를 끼치고 있다.


중국 쓰레기 소각장


이뿐만 아니라 경제성장에 따른 소비가 늘면서 쓰레기의 양도 증가했고, 덩달아 소각장의 수도 늘었다. 쓰레기를 태우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양도 중국의 인구 만큼이나 어마어마하다.
물론 우리나라 자체에서도 미세먼지를 많이 배출한다. 노후화된 경유차, 서해안의 화력발전소 등등. 우리도 자체적으로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지만 겨울철 서풍이 불 때마다 중국으로부터 넘어오는 미세먼지의 양은 우리나라의 그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중국의 환경 개선을 촉구하는 목소리를 낼 때가 왔다.
푸른 하늘이 그립다. 맑은 공기를 마시고 싶다.


반응형

댓글